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센터소개

IoT용 센서제조 및 연계 에너지 생산과 저장 관련 종합적 연구지원 센터로 발전하고자 합니다.

설립목적 및 연구분야

설립목적

4차산업혁명의 핵심인 사물인터넷은 센서를 통한 각종 사물간 연결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센서에 통신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고 분석하기 위한 센서의 내장 및 구동 에너지원이 필수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본 센터는 기존의 단순 공동활용 위주의 기초 연구·분석지원의 한계를 벗어나, 사물인터넷 연관 핵심연구지원 관련 종합적 연구지원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에너지 생산 및 저장이 연계된 IoT용 센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이에 필요한 공정분석 장비를 공동활용서비스를 제공한다.
종합적 연구지원을 위하여 대학 내 여러 공간에 분산되어 있는 다수의 IoT용 스마트소재 개발 관련 장비들을 하나의 독립된 공간에 집적하여 센서 및 에너지 소자 제조 공정 및 분석의 소요시간 감소 및 연구효율성을 제고한다. 또한 연구자 상호간 교류증대 및 시너지효과를 통하여 연구역량을 제고하고 연구활동을 활성화하고자 한다.

연구분야

본 센터는 IoT 구성 3대 요소(센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중 IoT용 센서 핵심소재와 센서구동을 위한 에너지 생산 및 저장을 특화 연구분야로 선정하여 융복합 연구를 진행한다.

1. IoT용 바이오·환경 센서소재 분야
  • 나노기술 응용을 통한 온·습도, pH, 특정 화확물질, 중금속류, DNA, 뇌신경 전달물질 등 다양한 특성과 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소재 연구
  • 기 확보된 뇌신경전달 물질을 높은 감도로 검출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이용하여 정보송신이 용이한 소재 및 소자를 에너지 시스템과 융합 가능한 형태로 개발
  • IoT용 센서에 필수적인 네트워크 및 데이터처리를 위한 외부 통신 환경에 적용 가능한 센서 연구
2. IoT용 에너지 생산소재 분야
  • 다양한 에너지원(태양광, 진동, 압력)으로부터 전력생산이 가능한 멀티소스 에너지 하베스터 개발을 통한 IoT용 센서 전력공급 원천기술 확보
  • 소재 전자구조 변화를 통한 광전변환 기능을 부여한 멀티소스 에너지 하베스터개발
  • 기존의 강유전계 입전소재의 문제점인 납함유 문제해결을 위한 무연계 강유전 소재 개발
  • 에너지 하베스터의 고성능화를 위한 산화혼합물 나노 분말 및 박막공정기술 개발
3. IoT용 에너지 저장소재 분야
  • IoT 적용을 위하여 장기충전상태유지, 가격 경쟁력 확보, 디자인 유연성을 고려한 배터리기술 확보
  • 수계전해질을 활용한 안전성 및 유연성 극대화를 위한 플렉시블 이차전지 개발
  • 차세대 다원자가 이온전지 개발을 통한 에너지 저장 소재·소자 구현